티스토리 뷰

반응형
(추천)인기 동영상 :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74부 여몽연합군vs삼별초2
 
이번에는 유튜브 인기 동영상에 대해서 리뷰해보겠습니다.
요즘에는 다들 유튜브 볼때 좋은 내용의 영상이더라도 영상이 너무 길면 건너뛰기 하거나, 안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인터넷 뉴스나 유튜브를 볼때 스크롤해서 댓글 먼저 보시는 분들 많으신가요?

바쁜 현대인들의 시간절약을 위해서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중요 내용이나 요약, 공감 댓글 등을 먼저 확인해보고 유튜브를 시청해보는건 어떨까요?

(추천)인기 동영상 :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74부 여몽연합군vs삼별초2

https://www.youtube.com/watch?v=IauRrniYGoQ

 

 

요약 댓글 :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74부 여몽연합군vs삼별초2

11*:
... 삼별초 반란이 실패한 이유 1. 진도로 들어갈 생각 말고 개경으로 향했어야 했다. 2. 진도갈 생각이면 제주도 갔어야 했다.
1. (이유) 1천척의 군대면 개경으로 갔어야지~ 개경은 중앙군이 있다고 하지만 역사상 단 1번도 개경에서 공성전을 막아낸 적이 없어요. 갓 징집된 중앙군은 시간을 주면 안되는 거다.

괜히 진도로 간 덕분에 중앙군은 훈련을 받을 시간을 준 거다.
갓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옮긴 정부군은 중앙군이 있어도 숫자만 많지 통일도 안되어 있고 혼란의 극치였을 거다.
내려가면서 싹 삼별초 다 긁어 왔으면 진도에 안착하는 것이 아니라 개경에 쳐 들어 갔어야 했다.

아마... 공격 받으면 오합지졸들 우왕좌왕 하다가 다 뚫렸을 것이다.
내 장담하는데 전주함락보다 개경함락이 쉬웠을 거다. 왜냐하면 이 기간만으로는 지휘부가 통일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려 개경군은 숫자는 많을 수 있지만, 몽골에 그 동안 털리다 갑자기 세워진 경우가 많고, 왕과 중앙정부간의 조직도가 완성되기 전이라 병사들은 지휘부 부재에 시달리던 시기가 되므로 삼별초가 쳐들어 왔으면 쉽게 지리멸렬 했을 거다.

2.제주도 갔으면 진도보다는 방어가 더 쉽다. 자원도 풍부하니깐~
인적자원도 많았다. 진도 보다는 장기전을 생각하면 여기가 최상이였다.

진도는 본토 상륙을 위한 전진기지역활이지 수도역활론 부적합했다.
일단 진도에 본거지를 마련한 후 계속되는 소모전에 수군의 배가 계속 소실되었고 이걸 보충할 방법이 없었다. 섬은 크고 지킬 병력도 부족했다.

그러나 제주도에 가면 주민이 많고 배도 만들 수 있으므로 수군의 배가 소실되어도 계속 충원이 가능하고
주민이 많아 지킬 병력도 계속 충원이 가능했으니 본거지로는 제주도가 더 적합했다.

진도는 준비가 같춰져 고려 본토 침공을 할때 거점지역으로는 좋지만 장기전 본거지용으론 아니였다고 판단한다.

이런 미스는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넘을때도 나오지만 반란은 신속해야 하는 점을 잊었던 것 같다.
12.12 사태도 이렇게 지방에서 굼뜨게 했으면 결국엔 쪽수가 딸려 진압 됬을 거다.
다 신속하게 중앙정부를 쳤으니깐 성공하는 거다.

 


 

재생시간 댓글 :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74부 여몽연합군vs삼별초2

윤지*:
40:13 빠른 대처

St*********:

44:28
유목민은 강해지기전에
다 갈아엎어버렸어야 합니다.


정인*:
40:13 남자들은 왜 그래요 ㅋㅋ

에스**:
43:03 전쟁이 왜 비참한지 가장 큰 이유 6:17 8:41 10:11 13:34 16:12 19:32 21:29 26:59 36:09 39:09 40:13

눈송**:

14:38
감히...우리 여보야를 모욕해?


Ta********:
40:12 ㅋㅋㅋㅋㅋㅋㅋㅋ

Ta**********:

24:29 진도 우측이잖아. 진도 북쪽은 울돌목이니 피하려 했다면 저런 진형이 나오더라도 충분히 이해가 된다.


 

 

인기순 댓글 :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史] 74부 여몽연합군vs삼별초2

정성*:

삼별초는 대몽항쟁을 이끈 민초들의 영웅이 아니란것도 알게되었고 가슴아프네


냥냥*:

윤지연아나운서 제 이상형이에요!!♥♥


DM*:

과거 류큐국(현오키나와) 왕국 의 설립이 삼별초에 의한것 이라는 분석도 있는데 어찌 생각하실런지..


ro*******:
임용한 교수님께 수업받고 싶다

약빤*****:

고려 정부 입장에선 무신 정권을 상징하는 삼별초를 없애고 싶었고
삼별초는 이리 죽나 저리 죽나 싸우다 죽겠다는 식이었던 것 같군.
말이 좋아 항몽이지 결국 지 목숨과 권력을 지키기 위한 싸움이로군.


카카*****:

다카키마사오,가네다(김용주) = 홍복원,홍다구 정답이지?


약빤*****:

역시 삼별초는 그냥 역적에 불과했구나. 대몽 항쟁이라면서 몽고와 내통을 해?


에크**:

토크멘터리 전쟁사 볼때마다 느끼는 점이지만 (내용이야 물론이고) 윤지연 아나운서 예쁘십니다. 국방tv는 시즌별로 dvd로 출시해야해.


Ru****:

토크멘터리 방송날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잘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ju*******:
임용한 교수님.. 존경 존경~~ 이번회도... 모든분들 감사합니당~~

자유**:
근데 배경 음악 워크래프트 2 아니에요? 후반부에? 33분에 나오는...

ch*********:
방영된 후 1년이 넘게 지나 보는 거지만 오늘은 댓글을 달지 않을 수 없습니다.임박사님께서 " 전쟁에서 약소국의 민초들이 당하는 가장 큰 비극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없는상황에 처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의 잣대로 그것이 옳으니 그르니 하는 것보다 다시는 그런 비극(전쟁)이 안 일어나도록 방비하는 것이다 "라는 말씀이 귀에 쟁쟁 울립니다. 임박사님은 역사를 바로 아는 분 같습니다.한국에 많은 역사가들이 있지만 임용한 교수님 같이 가르치는 분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임 박사님의 강의가 많은 대중들에게 전달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김왕*:
하여튼 제주도는 중앙정부에 비협조적이야~~ 옛날부터 지금까지 그래~

박동*:
윤지연 아나운서 각선미는 역시 짱!^^ 본인도 그 사실을 아주 잘 아는 듯.

꾸꾸**:

좋.아


Po**********:

아아..한번에 몰아봤을 때가 좋았다...


Al********:

근데 삼별초가 제주에서 패하고 오키나와로 갔다는게 맞는 설인가요?


고객************:
윤지연아나운서 각선미 쥑인다~~

PD***:
크...역시 재밌다!역시 다리가 이쁘...아...아닙니다

Wi*******:

윤누님. 항상 좋은 비쥬얼 감사해욧,,
역사시간이 이렇게 잼날줄이야. 학교에서 배울땐 잠만오고 듣고나도 기억이 안났는데
신기하게 50분 내용이 머릿속에 다 남아있다니..

갠적으로 삼별초는 권력투쟁이라고 봅니다. 삼별초뿐아니라 우리가 보는 수많은 당쟁
들이 겉으로는 모두 국민,나라를 위한다고 내세우지만. 결국은 자기들 이익을 그걸로
포장하는거라 봅니다.

그래서 인류역사를 보면 독재,왕정이 잊을만하면 다시 나오는걸겁니다.
제가 공부하기에는 민주주의 공화제는 근대에 나온게 아니라 고대 부족단위일땐
당연한 거였습니다. 몽골같은 유목민 조차도 사실상 원로회의니 공화제입니다.

그러다 나라가 커지면서 각 정계간 커진 리소스와 권력을 먹기위해 권력투쟁을
하게되고 그렇게 혼란을 겪다보면,, 현명한 독재자가 나타나서 정리하면 사람들은
열광하게 되겠죠,, 오랜혼란을 끝내준 위대한 사람이라며,, 그럼 그런식으로 독재나
왕정이 고착되고,, 시간이 지나서 흐미해지면 또 공화제나 민주제 같은거 찾고,


HO********************************:
안녕하세요 여자사회자 말처럼 외국에 있든 오지든 어디든 지구는 하나이니... 국방티비앱 유뷰브와 국정교과서와 국정정책으로 평생 개선 수정 편집이 되어서 유지되었으면 합니다 자주국방 동북3성 연해주 수복 아자! 새로운 보는방향을 제시해 주어서 감사합니다 다만 가로 세로 보는게 안되니 개선을 해주면 국방티비앱도 편리할거 같아요 추가로 유튜브처럼 추가 지정 폴더를 만들어 개인 자주가기 해서 볼수있게하면 매번 안찾아도 되고 좋을거 같습니다 너무 좋은 영상들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답은 없습니다 해설자분들의 생각도 들었으면 좋겠다 봅니다 사람은 100프로는 없는데 틀리든 맞든 그렇게해서 개선해 나가는거죠...시야가 좁고 생각할수 있는 청소년들이 이걸보고 자신의 생각을 피드백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람은 100프로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우린 너무 폐쇄적으로 살아서 기술 자기자랑이 아닌 자기능력 PR에 감추는게 에의 범절이라 잘못된 생각이 너무 아쉽습니다 뭐든지 역사든 if....는 없듯이 감정싸움에 답 안나오는 일본에 자꾸 시선이 가기보다 주 적인 중국공산당에 주변국과 협력에 분열 없애버려야 우리의 미래가 보입니다 내부 이간질 니편내편에 속지말고 하나가 되어 자주국방으로 나아갑시다 역사를보고 다시는 똑같은 실수를 하지말고 시야을 넓게 가지여 동북3성 연해주를 수복하여 최소한 내수시장만으로도 돌아가는 스펙 취업 걱정없는 경제발전을 하고 이런 역사을 알려서 장점이 될수도 단정이 될수도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Ye***:
홍바투르에서 바타르는 북방민족의 언어로 "영웅"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나라를 '배달민족' 이라고 하는데요~ 견해가 몇가지 있지만 바타르를 그 '배달' 의 유래로 보기도 합니다 (바타르 = 영웅 = 배달).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Ulaan baatar)의 ‘울란(Ulaan)’도 ‘밝은’, 또는 ‘붉은’의 뜻임과 동시에, ‘바타르(Baatar)’는 ‘영웅’, ‘위대한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울란바타르는 ‘붉은 영웅의 성’ 또는 ‘위대한 영웅의 성’이라는 뜻이 되죠.

결국 제주도로 피신한 삼별초들은 율도국으로 피신을 했다고 (지금의 일본령 오키나와)로 해석을 하는 분들도 있답니다. 이는 홍길동의 경우와도 비슷합니다. 허균은 홍길동이 결국 이상국가를 만들기 위해 율도국(궁미도)으로 떠났다고 적고있죠.

뭔가 민초의 영웅들은 정치적으로 탄압을 받는게 필연적인 것인지, 그러한 호기심들이 낭만으로 다가옵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율도국은 그 발음이 토마스 모어가 말하는 이상세계인 '유토피아' 와도 비슷합니다. 유토(=이상세계, 율도) + 피아(=land, 국)

 

 

국방TV 인기 동영상에 대해서 댓글들을 모아 요약형, 시간대형, 인기순 등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혹은 채널인데, 너무 길어서 아쉬웠던 분들은 유튜브 채널이나 동영상 링크를 남겨주시면 블로그 포스팅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
해당 링크를 통해 제품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쿠팡 파트너스 활동 일환으로 인해 일정 수수료가 블로거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